안토니오 데 네브리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토니오 데 네브리하는 15세기 후반과 16세기 초 스페인의 인문주의자, 문법학자, 사전 편찬자, 교육자이다. 그는 라틴어와 카스티야어 연구에 기여했으며, 1481년 라틴어 문법 교과서인 《라틴어 입문》을 출판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1492년에는 《카스티야어 문법》을 출판했는데, 이는 유럽 방언을 성문화한 최초의 책 중 하나로, 언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또한 라틴-스페인어 사전과 스페인-라틴어 사전을 편찬하여 사전 편찬에도 기여했다. 말년에는 성경 연구에 몰두했으나, 종교 재판소와의 갈등을 겪기도 했다. 그는 1522년 알칼라 데 에나레스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안토니오 데 네브리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안토니오 마르티네스 데 칼라 |
다른 이름 | Aelius Antonius Nebrissensis 안토니오 데 레브리하 |
출생 | 1444년, 레브리하, 세비야 주 |
사망 | 1522년 7월 5일, 알칼라데에나레스, 스페인 |
국적 | 스페인 |
직업 | 언어학자 시인 인문학자 |
언어 | 스페인어 |
활동 기간 | 1473년–1517년 |
영향 받은 인물 | 로렌초 발라 |
교육 | |
학교 | 살라망카 대학교 콜레히오 데 산 클레멘테 알칼라 데 에나레스 대학교 |
모교 | 볼로냐 대학교 |
작품 | |
주요 작품 | 카스티야어 문법, 1492년 |
가족 | |
친척 | 안토니오 데 레브리하(손자일 가능성 있음) |
2. 생애
네브리하는 세비야 주 네브릭사(현재 레브리하)의 귀족 가문 출신으로, 14세에 살라망카 대학교에서 수학, 철학, 법학, 신학을 공부했다. 이후 볼로냐의 스페인 대학에서 신학을 공부하며 이탈리아 인문주의자들의 영향을 받았다. 10년간 이탈리아에 머문 후 스페인으로 돌아와 세비야 대주교 알론소 데 폰세카 이 울로아를 섬겼다.[1]
폰세카 사후 살라망카 대학교 강사로 돌아온 네브리하는 1476년 문법 분야 초대 교수가 되었고, 1481년 ''Introductiones latinae|라틴어 입문la''을 출판했다. 1487년에는 이사벨 몬테시노 데 솔리스와 결혼하여 일곱 자녀를 두었다. 알칸타라 기사단장 후안 데 수니가 이 피멘텔의 후원으로 바다호스에서 12년간 살았다.[1]
이후 카스티야어 연구에 집중하여 1492년 ''카스티야어 문법''을 출판했는데, 이는 유럽 방언을 성문화한 최초의 책 중 하나였다. 같은 해 ''Diccionario latino-español|라틴-스페인어 사전la''을 출판하고, 1495년에는 ''Vocabulario español-latino|스페인-라틴어 어휘la''를 출판했다.[2]
성경 연구에도 관심을 가져 성경 텍스트와 해석 개선을 시도했으나, 디에고 데 데사 대심문관의 의심을 사 작품을 압수당했다. 시스네로스 추기경 덕분에 연구를 재개했지만, 콤플루텐스 다국어 성경 편집 과정에서 보수적인 편집자들과 갈등을 겪었다.[3] 그는 신학, 법학, 고고학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저술 활동을 펼쳤으며, 1522년 알칼라 데 에나레스에서 사망했다.[4]
2. 1. 출생과 가계
로 세례를 받은 네브리하는 전형적인 르네상스 인문주의적 방식으로 자신의 이름을 아일리우스 안토니우스 네브리센시스la (스페인어로는 )로 라틴어화했다. 이는 그의 고향인, 로마 시대에 네브리사 베네리아la로 알려진 레브리하의 로마 비문에서 아일리우스를 따온 것이다. 그는 , 안토니우스 네브리센시스la, 안토니오 데 레브릭사osp로도 알려져 있었다.네브리하는 현재 레브리하라고 불리는 세비야 주 네브릭사에서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후안 마르티네스 데 칼라와 카탈리나 데 사라나였으며, 그는 5명의 자녀 중 둘째였다. 그의 출생 연도에 대해서는 약간의 불확실성이 있는데, 네브리하는 1445년 올메도 전투 직전 해에 태어났다고 썼지만, 다른 곳에서는 이와 모순되는 언급을 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1444년이 그의 출생 연도로 받아들여지고 있다.[1]
2. 2. 교육
14세에 네브리하는 살라망카 대학교에 입학하여 수학, 철학, 법학, 신학을 공부했다. 이후 볼로냐에 있는 스페인 대학에서 신학을 공부할 수 있도록 세비야 주교의 장학금을 받았다. 이탈리아에서 10년 동안 머물면서 로렌초 발라를 비롯한 이탈리아 인문주의자들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았다.[1]스페인으로 돌아온 후, 네브리하는 3년간 세비야 대주교 알론소 데 폰세카 이 울로아를 섬겼다. 1473년 폰세카가 사망하자 살라망카 대학교 강사로 돌아왔다. 1476년 문법 분야의 초대 교수로 임명되었고, 1481년에는 라틴어 문법 및 문학 교과서인 ''Introductiones latinaela'' (''라틴어 입문'')을 출판했다. 초판 1,000부는 빠르게 매진되었고, 생전에 수십 번이나 재판되었다.[1][3]
2. 3. 학자로서의 경력
14세에 네브리하는 살라망카 대학교에 입학하여 수학, 철학, 법학, 신학을 공부했다. 이후 볼로냐에 있는 스페인 대학에서 신학을 공부할 수 있도록 세비야 주교의 장학금을 받았다. 이탈리아에서 10년간 머물면서 로렌초 발라와 같은 이탈리아 인문주의자들의 영향을 받아 르네상스 인문주의의 새로운 개념을 가지고 스페인으로 돌아왔다.[1]스페인으로 돌아온 후, 네브리하는 3년 동안 세비야 대주교 알론소 데 폰세카 이 울로아를 섬겼다. 1473년 폰세카가 사망하자 살라망카 대학교 강사로 돌아왔으며, 1476년 문법 분야의 초대 교수로 임명되었다. 1481년에는 라틴어 문법 및 문학 교과서인 Introductiones latinae|라틴어 입문la을 출판하였는데, 초판 1,000부는 빠르게 매진되었고, 생전에 수십 번이나 재판되었다.[1][3]
1487년, 네브리하는 이사벨 몬테시노 데 솔리스와 결혼하여 일곱 명의 자녀를 두었다. 알칸타라 기사단의 단장인 후안 데 수니가 이 피멘텔의 후원을 받아 살라망카 대학교를 그만두고 바다호스로 이사하여 12년 동안 그곳에서 살았다.[1]
네브리자는 고전 언어보다 카스티야어에 대한 문학 연구에 집중하였다. 1492년에는 이사벨 1세 여왕에게 헌정된 ''카스티야어 문법''을 출판하였는데, 이 책은 유럽의 방언을 성문화한 최초의 책 중 하나로, 언어가 국가 통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그의 인식을 보여준다. 그는 이사벨 1세에게 언어가 "제국의 도구"이며, 그의 문법이 카스티야어가 아닌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정복하는 데 유용할 것이라고 제안했다.[3]
1492년, 네브리하는 Diccionario latino-español|라틴-스페인어 사전la을 출판하였다. 1495년에는 순서를 바꾼 Vocabulario español-latino|스페인-라틴어 어휘la를 출판하여 큰 영향력을 미쳤다. 이후 한 세기 동안 스페인-라틴어 어휘는 새로운 단어와 번역으로 계속 발전했으며, 스페인어-나와틀어(1547), 스페인어-타갈로그어(1613) 등 라틴어가 아닌 번역 사전을 개발하는 다른 저자들의 기초가 되었다.[2]
성경 연구에도 관심을 돌린 네브리자는 이탈리아 인문주의자들의 비판적 분석을 성경 텍스트와 해석 개선에 적용하고자 했다. 1504년경 스페인 대심문관인 디에고 데 데사의 의심을 받아 작품을 압수당하고 파괴당했다. 1507년 시스네로스 추기경이 데사의 후임으로 종교 재판관이 되면서 성경 연구를 재개할 수 있게 되었고, 인문주의 연구 기법을 사용하여 성경 번역 및 해석 문제를 다룬 일련의 작품을 출판했다. 콤플루텐스 다국어 성경 편집 위원회에서 활동하기도 했으나, 성경 번역에 대한 그의 인문주의적 접근 방식은 보수적인 편집자들과의 충돌을 야기했다. 시스네로스는 보수적인 관점을 지지했고, 1517년에 출판된 완성본에서는 네브리자의 의견이 대부분 무시되었다.[3]
2. 4. 성서 연구와 갈등
1504년경 네브리하는 성서 연구에 관심을 돌려 성서의 텍스트와 해석을 개선하고자 했다. 그는 이탈리아 인문주의자들이 고전 문학에 적용했던 것과 동일한 비판적 분석을 사용하려 했다. 하지만, 디에고 데 데사 스페인 대심문관의 의심을 받아 그의 작품을 압수당하고 파괴되었다.[3]1507년 시스네로스 추기경이 데사의 후임으로 종교 재판관이 되면서 네브리자는 성경 연구를 다시 시작할 수 있었다. 이후 그는 인문주의 연구 기법을 사용하여 성경 번역 및 해석 문제를 다룬 일련의 작품을 출판했다. 네브리자는 콤플루텐스 다국어 성경을 준비하기 위해 시스네로스가 소집한 편집 위원회에서 잠시 활동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는 성경 번역에 대한 그의 인문주의적 접근 방식에 반대하는 보수적인 편집자들과 갈등을 겪었다. 시스네로스는 보수적인 관점을 지지했고, 결국 1517년에 출판된 완성본에서는 네브리자의 의견이 대부분 무시되었다.[3]
2. 5. 사망
Antonius Nebrissenla는 1522년 7월 5일 스페인 알칼라 데 에나레스에서 사망했다.[4] 그의 손자일 가능성이 있는 안토니오 데 레브리하는 콜롬비아의 정복자 목록에 있는 콜롬비아의 정복자이자 무이스카 정복 원정의 재무관이었다.[4]3. 주요 저작
- 라틴어 입문(Introductiones latinae), 1481년
- 카스티야어 문법(Gramática de la lengua castellana), 1492년
- 라틴-스페인어 사전(Diccionario latino-español), 1492년
- 스페인어-라틴어 어휘집(Vocabulario español-latino), 1495년경
- 시민법 사전(Iuris civilis lexicon), 1506년
- 수사학의 기술(Artis rhetoricae), 1515년
- 스페인어 철자법 규칙(Reglas de ortografía española), 1517년
- 카스티야어 철자법 규칙(Reglas de ortografía en la lengua castellana), 1523년 (사후 출판)
- Dictionarium quadruplex (Alvala, 1532, fol.)
- Quinquagena locorum S. Scripturae non vulgariter enarratorum (Paris, 1520; Basle, 1543)
4. 추가 읽을 거리
- AA. VV. ''안토니오 데 네브리하, 그의 반세기를 기념하여'', 호세 J. 고메스 아센시오(편집), 카르멘 키하다 반 덴 베르헤(편집), 살라망카 대학교 출판부, 2022년 5월. ISBN 978-84-1311-668-6.
- Gómez Asencioes, 호세 J., ''네브리하는 살아있다'', 안토니오 데 네브리하 재단, 마드리드, 2006. (2022년 ''500년 후에도 네브리하는 살아있다''라는 제목으로 확장판 재발행, 안토니오 데 네브리하 재단, 2022년 9월. ISBN 978-84-88957-85-6)
- Giles, 후안. ''안토니오 데 네브리하. 현자와 인간'', 후안 길 페르난데스 저, 아테나이카 출판부, 세비야, 2021년 12월. ISBN 978-84-18239-45-8
- Jiménez Calventees, 테레사 (편집). ''NEBRIJA (c.1444-1522). 문법학자가 되는 자부심. 문법학은 직업의 이름이다'', 전시 카탈로그, 테레사 히메네스 칼벤테(큐레이터 및 편집), 스페인 국립 도서관, 스페인 문화 행동 및 안토니오 데 네브리하 재단, 마드리드, 2022년 11월. ISBN 978-84-17265-35-9.
- Martín Bañoses, 페드로. ''지식을 향한 열정. 안토니오 데 네브리하의 삶'', 프란시스코 리코 서문, 우엘바 대학교, 우엘바, 2019. ISBN 978-84-17776-61-9
- Millánes, 호세 안토니오. ''안토니오 데 네브리하 또는 진실의 흔적'', 갈락시아 구텐베르크, 바르셀로나, 2022년 1월. ISBN 978-84-18807-73-2
- Moldeses, 디에고. ''안토니오 데 네브리하와 그의 유대계 변환 기원'', Editorial Gedisa, 바르셀로나, 2023년 1월. ISBN 978-84-19406-19-4
- Nebrijaes, 안토니오 데 (2011). ''카스티야어 문법'', 카르멘 로자노 편집, 페리페 곤잘레스 베가, 스페인 왕립 학술원, 갈락시아 구텐베르크 / 서클로 데 레토레스, 바르셀로나, 2011.
- Nebrijaes, 안토니오 데 (2023). ''안토니오 데 네브리하 5주년 (1522-2022). 제1권: 페드로 마르틴 바뇨스, 네브리하 연구가를 위한 새로운 조개. 안토니오 데 네브리하의 인쇄 및 필사본 작품 목록 (15-16세기). 제2권: 안토니오 데 네브리하 주변의 필사본 문화와 인쇄 문화'', 하코보 세바스티안 산즈 에르미다와 페드로 마르틴 바뇨스 편집, 살라망카: 살라망카 대학교 출판부, 2022년 12월 및 2023년 1월. ISBN (인쇄본 제1권): 978-84-1311-736-2, ISBN (인쇄본 제2권): 978-84-1311-737-9, ISBN 978-84-1311-738-6.
- Olmedoes, 펠릭스 G., ''네브리하 (1441-1522), 야만성을 분쇄한 종교학자, 교육자, 시인'', 에디토라 나시오날, 마드리드, 1942.
- Ricoes, 프란시스코. ''엘리오 안토니오 데 네브리하의 가르침과 유산'', 프란시스코 리코 에세이 모음, 후안 길 서문, 스페인 왕립 학술원, 마드리드, 2022년 3월. ISBN 978-84-88292-13-1
- Rieraes, 아나. ''네브리하. 단어를 사랑한 현자'', 어린이 그림책, 삽화: 오스카 델 아모, 에디토리얼 플라네타 및 안토니오 데 네브리하 재단, 바르셀로나, 2022년 9월. ISBN 978-84-08-25855-1
참조
[1]
논문
Perona 2004
[2]
논문
Hamann 2015
[3]
논문
Grendler 2000
[4]
서적
Rodríguez Freyle, 163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